하루에 한 번은 꼭 하게 되는 집안일이 있죠? 바로 설거지입니다. 아니, 분명 한번 이상은 하는 것 같습니다.
동생과 마트에서 장을 보다가 실리콘으로 만든 수세미를 본 적이 있습니다. 둘 다 사용해 본 적이 없는지라 호기심에 한번 사봤습니다.
실리콘이라서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비추천합니다. 거품도 별로 안 나고, 기름때도 잘 안 벗겨지는 것 같고.. 나중에 찾아보니 저랑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전 그것도 모르고 거품 안 나는 게 주방세제 때문인 줄 알고 막 썼는데 말입니다.
요즘에 사용하는 수세미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즉 플라스틱과 같은 성분이라는 겁니다.
설거지를 할 때 수세미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는데, 알록달록 아크릴수세미에는 더 많이 나옵니다.
오랜만에 본가에 갔더니 어머니가 아크릴수세미를 쓰고 계시길래, 당장 바꿔드렸습니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천연수세미에는 뭐가 있을까요?
첫 번째, 수세미 열매로 만든 식물 수세미가 있습니다.
요즘에 나오는 가공된 수세미가 없던 시절에는 식물인 수세미를 말려서 사용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수세미의 어원이 되어 현재까지 수세미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할 때는 속대 부분을 도려내고 반으로 갈라서 사용합니다. 평평하게 펴서 사용하면 조금 더 편리합니다. 수세미 열매는 물에 젖으면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그릇에 스크래치 날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버리실 때는 종량제 봉투에 버려도 되지만,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니면 퇴비로 땅에 묻어주세요.
두 번째, 삼베 수세미입니다.
삼베는 항균, 항독성, 방충성, 탈취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삼베 수세미는 세제 없이 설거지를 할 수 있습니다.
기름때가 있다면 기름을 닦은 뒤 소량의 세제만 사용합니다. 삼베 특성상 건도도 빠르도 곰팡이에 강하며 세균 번식의 우려가 적습니다. 관리 시 소금물이나 베이킹소다를 넣은 물에 삶아줍니다.
세 번째, 황마 수세미입니다.
섬유 길이가 짧고 강도가 약하지만, 부드럽고 방적성이 좋은 편입니다. 가격이 저렴하며 시중에 쉽게 수할 수 있는 황마 끈으로 만듭니다. 황마가 천연재료이기는 하지만 끈으로 만들어질 때 가공처리를 하기 때문에 물에 젖었을 때 약간의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사용하기 전에 2~3번 정도 삶아주는 게 좋습니다. 직접 황마로 뜨실 때는 설렁설렁하게 뜨는 게 건도도 빠르고 사용하기 편합니다.
네 번째, 소창 수세미입니다.
보통 아기들 천기저귀나 행주로 더 많이 쓰이는 직물입니다. 친환경 소재로 먼지가 적고 쓸수록 질겨져서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풀기가 있어 흡수력이 좋지 않아 사용 전에 삶아주는 게 좋습니다. 베이킹소다나 과탄산소다를 넣은 물에 20~30분 정도 삶아줍니다. 소창은 삶을 수록 부드러워지고 흡수성이 좋아집니다.
소창 특유의 누런빛이 좋으면 베이킹소다만 쓰시면 되지만, 하얗게 쓰고 싶으면 표백효과가 있는 과탄산소다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창이나 삼베의 경우는 행주로 설거지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색할 수도 있겠네요.
지금 소개해 드린 천연수세미들은 시중에 판매도 하지만 집에서 제작이 가능합니다.
수세미 열매는 말리면 되고, 삼베나 소창은 원단을 사서 원하는 길이, 모양으로 제단 할 수 있습니다.
황마는 끈을 사서 원하는 도안을 찾아 뜨개질할 수 있습니다.
재미도 있고 이렇게 만든 수세미를 가까운 지인에게 선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 웨이스트 - 비누 (0) | 2020.08.22 |
---|---|
제로 웨이스트 - 비즈왁스랩, 밀랍랩 (1) | 2020.08.21 |
제로 웨이스트 - 소프넛 (0) | 2020.08.19 |
제로 웨이스트 - 텀블러 (0) | 2020.08.18 |
[책] 나는 쓰레기 없이 살기로 했다 (0) | 2020.08.17 |